뉴미디어한국어문화학 전공은 2025년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내에 신설되어, 전통적인 한국어와 문화 연구를 현대 디지털 환경에 접목‧발전시키고자 하는 혁신적인 학문 분야이다. 본 전공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속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이를 세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전문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뉴미디어한국어문화학 전공은 기존의 국어국문 및 문예창작 전공의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기술과 뉴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한류 문화 콘텐츠 제작, 디지털인문학 및 인공지능 등의 첨단 분야와의 접목을 도모하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개척하게 될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한국문화와 미디어론, 디지털 시대의 한국어문화, 한류와 K-콘텐츠, 웹콘텐츠 기획과 제작, AI를 활용한 한국어문화콘텐츠 제작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디지털 시대의 한국어문화 분야의 발전을 선도하여 동국 문학의 유구한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켜 나아가고자 한다.
디지털 한국어·문화 연구 : 디지털 시대 한국어문화의 변화상을 심층적으로 연구하여 다양한 인문학적 시각을 제시한다.
디지털 콘텐츠 창작·제작 및 교육 : AI를 활용한 디지털 뉴미디어 콘텐츠 창작·제작 및 교육으로 새로운 문학·문화 경험을 확장한다.
한류 콘텐츠의 글로벌 확산 전략 및 창작 역량 증진 : K-pop과 K-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수용·확산될 수 있도록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새로운 창작 방안을 모색하며 관련 연구를 활성화한다.
디지털 시대 문화 현상 비판 및 인문학적 접근 :알고리즘 문화, 플랫폼 경제 등 디지털 환경에서 등장하는 새로운 문화 현상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사회적 이슈에 대한 인문학적·다학제적인 시각을 제시한다.
다양한 진로 개척과 전문가 양성 : 디지털·뉴미디어 환경에서의 다양한 진로를 개척하고, 한국어 교육·정책·빅데이터 분석 등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학수번호 | 교과목명 | 주요 내용 |
---|---|---|
NKC4016 | 출판콘텐츠기획(캡스톤디자인) | 전통적인 출판과 디지털 출판을 아우르는 콘텐츠 기획 및 마케팅 전략을 학습한다. 한국문학을 중심으로 한 출판 시장의 현황과 트렌드를 분석하고, 다양한 장르의 출판물 기획 과정을 이해한다. 캡스톤 디자인 방식으로 진행되어, 학생들은 실제 출판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샘플 콘텐츠를 제작하는 경험을 통해 실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
NKC4012 | 뉴미디어콘텐츠의이해 | 뉴미디어 환경에서 생산되고 유통되는 다양한 콘텐츠의 특성과 제작 원리를 학습한다. 소셜미디어 콘텐츠, 웹드라마, 1인 미디어 콘텐츠 등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 콘텐츠를 분석하고, 이들의 제작 기법과 유통 전략을 이해한다. 학생들은 실제 뉴미디어 콘텐츠 기획과 제작 실습을 통해 실무 능력을 키울 수 있다. |
NKC4009 | 한국문화원형과콘텐츠(캡스톤디자인) | 한국의 전통문화와 고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고 콘텐츠화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고전문학의 정전을 중심으로 한국의 문화원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적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캡스톤 디자인 방식으로 진행되어, 학생들은 실제 산업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창의적인 콘텐츠를 개발하게 된다. |
NKC4007 | K콘텐츠의 언어와 문화 | 다양한 K콘텐츠에 나타나는 언어적, 문화적 특성을 분석한다. K-drama, K-pop 가사, 예능 프로그램 등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특징과 문화적 코드를 학습하고, 이들이 어떻게 번역되고 현지화되는지 탐구한다. 학생들은 K콘텐츠의 언어와 문화적 요소가 글로벌 팬들에게 어떻게 수용되고 해석되는지를 이해하게 된다. |
NKC4005 | 서사문화실습(캡스톤디자인) | 인류문화의 중요한 특성인 서사는 신화와 설화, 소설은 물론 영화, 드라마, 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 다양한 현대문화의 장르에 공통되는 것이다. 이 강좌에서는 정통문학은 물론 대중문화까지를 아우르는 서사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현대문화의 영역에서 서사문화의 방향을 전망해 본다. |
NKC4002 | 디지털시대의 한국어문화 | 디지털 환경에서의 한국어 사용과 문화 현상을 탐구한다. 소셜 미디어, 온라인 커뮤니티, 디지털 콘텐츠 등에서 나타나는 한국어의 변화와 새로운 문화적 표현 방식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언어 사용 패턴, 신조어의 형성, 온라인 문화 현상 등을 분석하고, 디지털 시대의 한국어와 문화의 동향을 이해하게 된다. |
NKC4001 | 한국문화와 미디어론입문 | 한국 문화와 미디어의 관계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전통 미디어부터 현대 디지털 미디어까지 한국 문화와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며, 미디어를 통해 표현되는 한국 문화의 특성을 분석한다. 학생들은 다양한 미디어 형태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코드를 이해하고, 미디어가 한국 문화의 형성과 전파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
NKC4022 | 전자책제작편집연습(캡스톤디자인) | 전자책 포맷의 특성과 제작 과정을 학습하고 실습하는 캡스톤 디자인 과목이다. EPUB, PDF, 웹소설 플랫폼 등 다양한 전자책 형식의 특징과 제작 도구를 익힉다. 학생들은 기존의 출판물을 전자책으로 변환하거나, 처음부터 전자책 형식에 맞는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한다. 특히 웹소설, 웹툰 등 디지털 네이티브 콘텐츠의 특성을 고려한 전자책 제작에 중점을 둔다. |
NKC4021 | 영상콘텐츠제작연습(PBL) | 영상 콘텐츠의 기획부터 제작까지 전 과정을 실습하는 문제 기반 학습(PBL) 과정이다. 학생들은 단편영화의 기획, 촬영, 편집, 후반 작업 등 영상 제작의 각 단계를 직접 경험한다. 아울러 현대의 다양한 영상 플랫폼의 특성을 이해하고, 각 플랫폼에 적합한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능력을 함양한다. |
NKC4019 | 디지털게임시나리오입문 | 디지털 게임 산업에 특화된 시나리오 작성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게임 스토리텔링의 특성, 인터랙티브 내러티브 구조, 캐릭터 및 세계관 설정 등 게임 시나리오의 핵심 요소를 이해한다. 학생들은 한국어문화적 요소를 활용한 게임 시나리오를 기획하고 작성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실무 능력을 키울 수 있다. |
NKC4017 | AI와 한국어문화 콘텐츠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한국어 문학 및 문화콘텐츠의 제작과 분석 방법을 학습한다. AI 작문 도구, 자연어 처리 기술, 빅데이터 분석 등을 활용하여 한국어 콘텐츠를 생성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익힌다. 학생들은 AI 기술을 활용한 창작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미래 콘텐츠 산업에서의 AI의 역할과 가능성을 탐구한다. |
NKC4013 | 웹콘텐츠기획과제작연습 | 웹 환경에 특화된 콘텐츠의 기획과 제작 과정을 실습한다. 웹툰, 웹드라마, 소셜미디어 콘텐츠 등 다양한 웹 기반 콘텐츠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 기획부터 제작까지의 전 과정을 경험한다. 학생들은 팀 프로젝트를 통해 웹콘텐츠를 기획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함으로써 실무 역량을 강화한다. |
NKC4011 | 문학, 콘텐츠, 팩션 | 고전 문학 작품과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 제작에 대해 탐구한다. 팩션(Faction: Fact + Fiction)의 개념과 특성을 이해하고, 문학 작품이나 역사적 사건이 어떻게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로 재해석되고 변용되는지 학습한다. 학생들은 한국의 문학 작품이나 역사적 사건을 선택하여 팩션 콘텐츠로 재창작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
NKC4010 | K-Movie시나리오입문 | 현대 한국영화의 시나리오를 강독하면서 전문적인 한국어 문해력을 향상시키고 작성 기법을 습득한다. 한류의 중심으로서 현대 한국영화의 텍스트적 특성 및 트렌드를 분석하고, 시나리오 구조, 캐릭터, 대사 등 영화 시나리오의 기본 요소에 관해 이해한다. |
NKC4008 | K콘텐츠의 스토리텔링과 유니버스 | K콘텐츠의 세계관 구축과 스토리텔링 전략을 학습한다. 성공적인 K콘텐츠의 IP(지적재산권) 확장 사례, 팬덤 형성 전략,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기법을 분석한다. 학생들은 K콘텐츠의 고유한 스토리텔링 방식과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자신만의 K콘텐츠 유니버스를 기획해보는 실습을 통해 창의적 역량을 함양한다. |
NKC4006 | 한류와K콘텐츠 | 한류의 역사적 발전과 현재의 글로벌 영향력을 탐구한다. K-pop, K-drama, K-movie 등 다양한 한류 콘텐츠의 특성과 성공 요인을 분석하고, 한류가 한국 문화의 세계화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한류 콘텐츠의 제작, 유통, 소비 과정을 이해하고, 글로벌 문화 시장에서의 한류의 위치와 전망을 고찰하게 된다. |
NKC4004 | 트랜스미디어스토리텔링 |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학습한다. 하나의 이야기를 영화, 드라마, 웹툰,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로 확장하는 OSMU(One Source Multi Use) 전략을 이해하고 실습한다. 학생들은 한국의 대표적인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분석하고, 자신만의 트랜스미디어 프로젝트를 기획해봄으로써 창의적인 스토리텔링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NKC4003 | 디지털인문학입문 |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인문학 연구 방법론을 소개한다. 빅데이터 분석, 텍스트 마이닝, 디지털 아카이빙 등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한국어와 문화 연구 방법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디지털 기술을 통해 문학 작품, 역사 자료, 문화 현상을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